Translate

2017년 2월 24일 금요일

[공부]알칸, 알켄, 알킨

※ mono-di-tri-tetra-penta-hexa-hepta-octa-nona-deca

1. 알칸(단일결합)

   1) 비극성이므로 물용해도가 낮으며 반응성도 낮다.
   2) 반응
       - 할로겐 반응 : 할로겐(X2)과 가열 또는 자외선을 쬐면 HX(할로겐화수소)생성
       - 산화 : 고온에서 산소(O2)와 반응해서 CO2와 H2O생성(발열반응)
       - 열분해 : 고압하 가열(600C)하면 알켄으로 변화
             ex) 프로판 -(가열)-> 프로필렌+에틸렌+메탄+H2
   3) 알칸계, 메탄계, 파라핀계

2. 알켄(이중결합)

   1) 반응
       - 수소 첨가반응
       - 할로겐 첨가반응
       - 글리콜화 : 과망간산칼륨(KMnO4), 4산화오스뮴(OsO4)등의 산화제를 넣으면 탄소원자 2개에 히드록시(-OH)가 붙는다.
       - 중합반응
   2) 알켄계, 에틸렌계, 올레핀계

3. 알킨(삼중결합)

    1) 반응
       - 수소 첨가반응 : 수소를 촉매(백금, 니켈, 파라듐)사용해서 반응시키면 알칸 생성, 활성이 적은 촉매(Pd/BaSO4)이용시 알켄 생성
       - 할로겐 첨가반응 : 2X2첨가시 X가 C에 붙는다.
       - 할로겐화 수소 첨가
       - 시안화수소(HCN)첨가
     2) 알킨계, 아세틸렌계

4. 알칸/알켄/알킨 비교

   1) 단순하게 정리해보자면 알칸이 제일 안정하고 그러므로 끓는점, 결합길이, 결합력이 높다. 반대로 반응성이 낮다.
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